완벽한 자세로 운동하더라도 부상을 100% 피해 갈 수는 없다!
운동인이 유념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부상을 피할 것인가'가 아니라 '언제 어떤 방식으로 부상이 나타나는가'이다.
오래도록 강인하고 건강하게 운동하고 싶다면 부상 메커니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관리와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운동을 하다 보면, 신체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단순히 강도 높은 훈련의 정상적인 반응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근육통뿐만 아니라 관절이나 힘줄 등에 불편함이 느껴지는 경우에도 이러한 논리를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 부상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적기에 시작하지 못하고, 심각한 부상을 입고 나서야 필요성을 깨닫기 시작한다.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 중 거의 절반이 하나 이상의 부상을 안고 있다. 특히 상급자는 온전한 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다.
근력 운동은 근육 발달과 신체 기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지만, 동시에 병리적 위험을 동반하며 이는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신체에 반드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운동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체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근육운동 부상 관리 & 예방 가이드》는 근력 운동에서 발생하는 부상의 발생 원인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심각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회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수많은 부상 중 근력 운동 분야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상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평소 근육 트레이닝을 꾸준히 하는 운동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프레데릭 데라비에 Fr?d?ric Delavier
전 세계 1위 판매량을 자랑하는 ?근육운동가이드》의 저자다. 이 책은 25개 이상 언어로 번역되어 20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스포츠 트레이너와 물리치료사 양성기관에서 표준 교재로 자리 잡았다.
마이클 건딜 Michael Gundill
30년 넘게 신체 단련에 관심을 쏟아 왔으며, 세계 주요 의학 도서관에서 수천 시간에 걸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는 미국의 ‘Iron Man’, ‘Mind & Muscle’ 등 다수의 운동 전문 저널에 기고해 왔으며, 수십 년간 보디빌딩을 직접 실천해 오고 있다.
두 저자는 함께 Vigot 출판사에서 ?근육운동가이드》 시리즈, ?근육운동보충제가이드》, ?여성 근육운동가이드》 등 다수의 권위 있는 서적을 집필하였다.
PART 1 부상의 문제점
01 근력 운동의 부상 발생률
02 부상이란 무엇인가?
PART 2 각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부상
03 근막 질환
04 근육통
05 힘줄(건) 질환
06 인대 질환
07 관절 질환
08 뼈 질환
09 신경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PART 03 각 근육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질환
10 어깨 질환
11 이두근 및 관절와순 질환
12 삼두근 및 팔꿈치 질환
13 전완, 손목, 손의 병적 이상
14 대흉근 관련 병적 이상
15 상부 등(흉추) 질환의 이해
16 척추와 관련된 다양한 병적 문제
17 복부와 관련된 병리적 현상
18 고관절 문제 : 요추 및 슬개골에 미치는 영향
19 대퇴사두근, 무릎, 내전근의 병리적 문제
20 슬굴곡근의 병리적 문제 : 슬개골 및 요추에 미치는 영향
21 종아리 및 발과 관련된 병리학적 문제
해부학 차트